n8n vs Make 비교 분석: 비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툴 완벽 가이드
자동화는 더 이상 개발자들만의 영역이 아닙니다. 복잡한 코딩 없이도 다양한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도구들이 많이 등장했고, 그 중에서도 n8n과 Make(구 Integromat)는 대표적인 인기 툴입니다. 이 글에서는 자동화를 처음 접하는 비개발자를 위한 시각에서 n8n과 Make를 꼼꼼히 비교 분석하여 어떤 툴이 나에게 더 잘 맞는지 결정할 수 있도록 도와드립니다.
1. n8n과 Make란?
1-1. n8n 소개
n8n은 "노코드 워크플로우 자동화 도구"로,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다양한 앱과 서비스를 연결해 자동화 흐름을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오픈소스 툴입니다. n8n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, 클라우드와 로컬 서버에 설치 가능하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.
- 오픈소스 기반 (MIT 라이선스)
- 노코드 + 로우코드 지원 (간단한 JavaScript 삽입 가능)
- 로컬 서버에 설치 가능 (개인 데이터 보호 용이)
1-2. Make 소개
Make는 구 Integromat에서 브랜드를 변경한 자동화 플랫폼입니다. 다양한 앱 간의 연동을 시각적으로 쉽게 구현할 수 있으며, 다양한 템플릿과 고급 기능이 강점입니다. 완성도 높은 UI와 UX로 인해 비개발자들도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.
- 클라우드 기반 SaaS 플랫폼
-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의 시각적 인터페이스
- 고급 필터링 및 조건 처리 지원
2. 기능 비교
요약: n8n은 커스터마이징과 데이터 보안에 강점이 있고, Make는 사용성(UI)과 연동 앱 수, 템플릿 제공에서 우위입니다.
3. 가격 비교
3-1. n8n 가격 정책
- Self-hosted: 완전 무료
- Cloud 플랜:
- Starter: $20/월 (작업 실행 수 제한 있음)
- Pro: $50/월
- Business: 별도 문의
n8n은 자가 서버 운영이 가능하므로, 비용 부담 없이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 큰 장점입니다.
3-2. Make 가격 정책
- Free 플랜:
- 매월 1,000개의 작업 실행 가능
- 2개 시나리오 활성화 제한
- Core 플랜: $9/월
- Pro 플랜: $16/월
- Teams / Enterprise 플랜: 커스터마이징 가능
Make는 초기 진입 장벽은 낮지만, 실제 활용도가 높아질수록 유료 전환이 불가피합니다.
4. 사용 난이도 (비개발자 관점)
4-1. n8n의 난이도
n8n은 기능은 강력하지만 설치 및 초기 세팅이 다소 까다로울 수 있음. 자체 서버를 사용하는 경우 Docker, VPS, 데이터베이스 설정 등이 필요합니다. 기본 사용은 어렵지 않지만 고급 사용은 약간의 개발 지식이 필요합니다.
✅ 추천 사용자: 기술에 관심이 많고 자가 서버 운영을 감당할 수 있는 사용자, 높은 보안과 커스터마이징을 원하는 중급자
4-2. Make의 난이도
Make는 매우 직관적인 UI를 제공하며, 노션, 슬랙, 구글 스프레드시트 등 자주 쓰는 툴과의 연동도 손쉽습니다. 템플릿 기반 시작이 가능하여 초보자도 쉽게 적응할 수 있습니다.
✅ 추천 사용자: 자동화를 처음 접하는 초보자, UI 기반 사용을 선호하는 사람
5. 어떤 상황에 어떤 툴이 적합할까?
상황/조건 | 추천 툴 | 이유 |
데이터 보안이 매우 중요한 경우 | n8n | 자가 호스팅이 가능하고, 데이터 외부 노출 최소화 가능 |
빠르게 시작하고 싶을 때 | Make | 웹에서 바로 시작 가능, 템플릿 풍부 |
자주 쓰는 앱 간 단순 자동화 | Make | 슬랙, 노션, 지메일 등 주요 앱 템플릿 많음 |
고급 자동화 시나리오 구축이 필요할 때 | n8n | 조건 분기, 함수 삽입, DB 연결 등 복잡한 설정 가능 |
팀 단위 협업 | Make | 플랜별 협업 기능 지원 |
비용 부담 없이 장기 사용 | n8n | 무료 서버 설치 사용 가능 |
6. 실전 활용 예시
6-1. n8n 예시: 웹사이트로부터 뉴스 크롤링 후 텔레그램 발송
- RSS Reader 노드로 뉴스 수집
- IF 노드로 키워드 필터
- 텔레그램 노드로 메시지 전송
6-2. Make 예시: 구글 폼 응답 → 자동 이메일 발송 → 슬랙 알림
- Google Forms → Gmail → Slack 연결
- 템플릿 사용 시 5분 안에 구성 가능
7. 결론 및 추천
n8n이 적합한 사용자
- 데이터 보안이 중요한 조직, 개발자 또는 기술 관심이 높은 사용자
- 자체 인프라 운영 가능하고 오픈소스를 선호하는 분
- 다양한 조건 분기 및 복잡한 자동화 요구사항이 있는 사용자
Make가 적합한 사용자
- 개발 지식이 없는 비개발자, 마케터, 콘텐츠 제작자 등
- 바로 시작하고 싶고, 사용성을 중시하는 사용자
- 템플릿 기반으로 쉽고 빠른 자동화가 필요한 분
마무리하며
n8n과 Make는 각각의 특성과 장점이 뚜렷한 훌륭한 자동화 도구입니다. 이 글에서 제시한 기능, 가격, 사용성, 추천 조건을 참고하여 여러분에게 딱 맞는 툴을 선택해보세요. 자동화는 생산성을 높이는 데 매우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으며, 시작은 작게 하더라도 그 효과는 큽니다.
앞으로 자동화가 일상이 되는 시대, 오늘이 그 첫걸음이 될 수 있습니다.
'IT 제품&프로그램 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Kotlin K2 정리: 기존 컴파일러와 뭐가 다를까? + IntelliJ IDEA 설정 방법 (1) | 2025.05.24 |
---|---|
[Make] 업무 자동화의 신세계, Make로 할 수 있는 7가지 자동화 (0) | 2025.05.12 |
아이폰에서 네이버 패스키 등록하는 법! |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하는 꿀팁 (1) | 2025.04.16 |
[Mac, Docker] Docker Desktop 오류. docker 사용자의 컴퓨터를 손상시킵니다. - “Docker” is damaged and can’t be opened. You should move it to the Trash. (4) | 2025.01.09 |
[구글애드센스] 애드센스 납세자 거주지 세금 정보 업데이트 (3) | 2025.01.08 |
댓글